남부지방 물폭탄…5일~7일 많은 곳 300㎜ 이상 비
이번 주 초(5∼7일) 남부지방에는 많은 양의 장맛비가 쏟아진다.
5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낮 동안 약하게 이어지던 남부지방의 비는 밤부터 다시 강해져 6일 낮까지 천둥·번개를 동반한 시간당 50㎜ 이상의 매우 강한 양을 뿌릴 예정이다.
현재 흑산도와 홍도에는 호우경보가, 충남·전북·전남·광주 일대에는 호우주의보가 발표된 상태다. 충북, 대전, 경북, 경남, 대구, 광주, 부산에도 이날 밤에서 6일 새벽 사이 호우특보가 발효될 예정이다.
이후 정체전선은 점차 북상해 이날 밤 충청권 북부, 6일 강원 남부, 7일 그 밖의 중부지방에도 비가 온다. 다만 서울 등 수도권은 소강상태를 보이거나 비교적 적은 양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
5∼6일 예상 강수량은 남부지방은(경북 북부 제외) 100∼200㎜(많은 곳 300㎜ 이상), 충청권 남부와 경북 북부는 50∼100㎜, 충청권 북부와 제주도 산지는 30∼80㎜, 제주도(산지 제외)와 강원 남부, 울릉도·독도는 5∼20㎜다.
기상청은 비구름대가 남북으로 폭이 좁고 동서로 길게 형성됨에 따라 지역에 따라 강한 비가 계속 내리는 곳이 있고, 정체전선의 북상 또는 남하 여부에 따라 강한 비가 내리는 구역과 강수량이 달라질 수 있으니 앞으로 발표되는 기상정보를 참고해달라고 밝혔다.
이번 비는 비구름대가 동서로 길고 남북으로 폭이 좁은 형태를 띠고 있어 지역 간 강수량의 차이가 매우 큰 게 특징이다.
이에 따라 같은 권역이어도 곳에 따라 강수량의 차이가 크다.
일례로 정읍과 광주는 거리 차이가 40㎞ 정도에 불과하지만 오는 7일까지 예상 강수량의 차이는 정읍은 50㎜, 광주 350㎜ 정도로 7배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장마의 또 다른 특징은 야행성 폭우라는 점이다.
6일과 7일 새벽에 강한 강수대가 분포하고 밤사이 강한 수증기가 유입되는 데다가 건조한 공기도 접근하면서 비구름대가 강해질 전망이다.
여기에다 정체전선 내부에서는 작은 저기압이 발달하면서 이차적인 비구름대가 강화돼 정체전선이 걸리는 곳은 지난 주말보다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다.
기상청은 "이번 비구름대는 동서로 길고 남북의 폭이 아주 좁아서 비가 오리라 예상되는 지역만 콕 집어서 예보하는 것은 위험하다"며 "조금만 움직여도 강수량의 차이가 매우 클 수 있는 데다가 비가 오는 때가 취약시간대라 더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또 이번 주 수도권은 남부지방에 비해 적은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되나 장마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가 지난 주말 적지 않은 비가 내린 만큼 장마 기간 강수량이 적은 이른바 '마른장마'로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8∼9일에는 전국에 비가 오고 제주도는 11일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또 10∼11일 오후에는 강원 영동을 제외한 전국에 비가 내리는 등 이번주 내내 비 소식이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