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측 "5‧18은 분명한 폭동…'택시운전사' 사실 아냐" 발언 파문

2017-08-08     성기노




전두환 전 대통령 측이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폭동'으로 규정해 논란이 거셀 전망이다.


전 대통령 측근인 민정기 전 청와대 비서관은 7일 S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보는 사람 입장에 따라 다르게 성격을 규정하고 평가하겠지만 당시 광주 5·18이 벌어졌던 상황이나 사건 자체는 폭동인 게 분명하지 않느냐"고 주장했다.


민 전 비서관은 "아무런 법적 정당성이 없는 시민이 무장하고 무기고를 습격하고 간첩들이 수용돼 있는 교도소를 집요하게 습격하고 군수공장을 습격해 장갑차나 사병들을 빼앗아서 그걸로 무기고를 습격하는 행동을 폭동이 아니고 뭐라고 하겠느냐"고 되물었다. 그는 "당시 벌어졌던 상황 자체는 두말 할 것 없이 폭동"이라고 강조했다.


민 전 비서관은 '전두환 회고록'의 출판 및 배포를 금지한다는 법원의 결정에 불복해 이의신청을 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법원의 가처분신청 결정문이 마치 5·18 관련 단체의 가처분신청서를 그대로 옮겨놓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며 "역사적 사실을 왜곡했다거나 허위사실을 주장했다는 건 도저히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가 지금 과거 봉건이나 중세 시대를 사는 것도 아니고 공산 독재 체제 하에 있는 것도 아니다"면서 "전직 대통령이 쓴 회고록을 금서 처분하면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인권상황을 어떻게 평가하겠느냐"고 비판했다.


한편 5·18을 다룬 영화 '택시운전사'에 대해서는 "(계엄군이 시민을) 표적, 겨냥해서 사격했다는 부분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왜곡) 정도가 지나치다고 한다면 법적 대응도 검토해볼 수 있지만 아직 결정된 건 없다"고 밝혔다.


전두환 측이 이렇게 적반하장식의 주장을 하는 이유는 최근 '택시운전사' 관람 열풍이 불면서 젊은 층도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것과도 관련이 있다. 전두환이 비록 법적인 처벌을 받긴 했지만, 추징금 미납과 반 역사적 발언 등을 하며 여전히 활발한 활동을 하는 것에 대해 젊은 층의 여론도 좋지 않게 흘러가고 있다. 이렇게 되면 또 다시 전두환에 대한 처벌 주장 등이 나올 수도 있기 때문에 사전에 적극적인 여론전을 통해 강하게 맞서겠다는 의도도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수천명이 희생된 광주민주화운동은 이미 역사적으로도 '민주주의 운동'으로 자리매김 된 상황에서 이렇게 반 역사적 발언을 일삼는 것에 대한 강력한 응징이 있어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온라인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