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국정원, 문성근 김여진 합성 사진 제작, 유포 충격
이명박(MB)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정부 기조에 비판적인 문화ㆍ예술계 특정인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기 위한 작업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일보는 14일 국정원 등을 인용해 '국정원 심리전단은 2011년 여름 좌파 연예인으로 분류한 배우 문성근과 김여진의 부적절한 관계를 꾸며내 이미지를 실추시키는 내용의 계획서를 작성해 상부에 보고한 뒤 실행에 옮겼다'고 보도했다.
2009년 2월 취임한 이래 수시로 여론을 주도하는 문화ㆍ예술계 인사나 단체를 겨냥해 압박하도록 지시한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뜻에 따른 것이다. 해당 연예인은 2009년 7월 김주성 당시 기조실장이 팀장을 맡은 좌파 연예인 대응 태스크포스(TF)가 선정한 블랙리스트 82명 중에서 뽑았다.
국정원 심리전단이 민간인 사이버 외곽팀 등을 동원해 실제 행동에 옮긴 건 2011년 10월. Mos***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네티즌은 보수 우파를 자처하는 ‘대한민국 긍정파들의 모임’(대긍모)의 포털사이트 인터넷 카페 게시판에 ‘[19禁] 문성근과 김여진의 부적절한 관계’라는 제목으로 두 배우가 나체로 침대에 누워 있는 선정적인 사진을 올렸다. 사진은 합성된 것이었다. 사진 내에는 ‘공화국 인민배우 문성근, 김여진 주연 “육체관계”’라는 글귀가 들어있었다.
국정원 개혁위원회는 사이버 공작 역량을 활용, 이미지 실추를 유도하기 위해 두 배우의 부적절한 관계를 나타내도록 합성한 사진을 제작, 유포하는 취지의 내부 문건 등을 발견해 14일 이 자료 등을 포함해 원 전 원장 등을 국정원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자료를 넘겨 받은 검찰은 검토에 착수, 이르면 다음주부터 두 배우를 포함해 국정원의 사이버 공작 피해자로 지목된 문화.연예계 인사를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이같은 의혹이 사실일 경우 국정원의 연예계 컨트롤이 어디까지였을지, 상상을 초월하는 '공작'을 벌였음을 알 수 있다. 윗선의 의지와 개입 없이는 이런 '장난'들은 쉽게 국정원 차원에서 이뤄질 수 없다. 아랫사람들이 책임을 지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명박 정권 때의 국정원이 본연의 임무를 벗어나 얼마나 허튼 일을 많이 했는지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임석우 인턴기자 rainstone@featur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