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에 엔진 불타 비상착륙한 A380 어떤 비행기?
프랑스 파리에서 미국 로스앤젤레스(LA)로 향하던 에어프랑스 여객기의 한쪽 날개 엔진이 대서양 상공에서 폭발음과 함께 꺼져 항공기가 캐나다 북동부 해안의 한 공항에 비상착륙했다고 미 언론이 30일 전했다.
이날 파리 샤를 드골 공항에서 승객 496명과 승무원 24명을 태우고 출발한 에어프랑스 AF66편 에어버스 A380기는 이륙 5시간 뒤 그린란드 남단을 통과할 무렵 폭발 굉음과 함께 기체가 크게 흔들렸다.
에어버스 A380은 전 세계에 운항하는 여객기 중 가장 큰 기종이다.
이 비행기의 엔진 4개 중 한쪽 날개에 있는 엔진 한 기가 폭발했으며 엔진을 싸고 있던 금속 재질의 덮개가 날아가면서 엔진 자체도 꺼졌다.
비행기는 엔진 사고 이후에도 두 시간 더 날아 캐나다 북동쪽 해안인 라브라도어의 구스베이 공항에 불시착했다. 탑승객 중 부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탑승객들은 비행기 한쪽 날개의 엔진 덮개가 흉물스럽게 뜯겨 나간 사진을 찍어 트위터에 올렸다.
탑승객 중 한 명은 뉴욕데일리뉴스에 "큰 폭발음이 들리고 나서 비행기가 급강하했다. 난기류에 걸린 것처럼 기체가 심하게 요동쳤다"고 전했다.
승객 파멜라 애담스는 전화 인터뷰에서 "고도 3만5000피트에서 마치 지프차량과 충돌하는 것 같은 엄청난 굉음과 함께 비행기 동체가 휙 흔들렸으며 그런 뒤에 곧 균형을 바로 잡는 것 같았다 "고 말했다.
한 승객은 "승객들이 공포에 질렸고 추락하는 줄 알았다"고 말했다.
항공기 조종사는 기체가 20분간 흔들린 뒤 엔진이 꺼진 사실을 확인하고 비상착륙을 시도했다.
탑승객들은 항공기가 가까운 구스베이 공항으로 기수를 돌리면서 기내에 비상등이 들어왔다고 전했다.
이어 조종사가 스피커를 통해서 엔진 한 개가 손상되어 비행기가 캐나다에 내릴 것이라고 알려 주었다고 그는 말했다.
이 항공기는 그 뒤 90분이 지나 캐나다 구스베이 공항에 무사히 내렸다.
승무원들은 비행기가 활주로에서 몇 시간동안 대기하는 동안 승객들에게 식사를 나눠 주었다.
에어 프랑스는 이 여객기의 승객 497명을 구스 베이에서 로스앤젤레스까지 무사히 보내기 위해 항공기 두 대를 동원했다고 밝혔다.
비행기에 탑승한 전직 항공기 정비사 데빈 레머는 BBC 방송에 "아마도 엔진 팬이 고장을 일으킨 것 같아 보였다"고 말했다.
에어프랑스 측은 "중대한 엔진결함이 발견된 AF66편은 안전하게 착륙했다. 승객들에게는 다른 항공편으로 갈아탈 수 있도록 조처하고 있다. 위급 상황에서 잘 훈련받은 우리 조종사와 승무원들이 완벽하게 대처했다"고 말했다.
하늘을 나는 7성급 호텔 A380 어떤 비행기일까?
2007년에 처음 취항한 에어버스 A380은 유럽 연합의 에어버스사가 제작한 2층 구조로 된 초대형 항공기이다. 대형 항공기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미국 보잉사의 보잉 747 항공기에 대응하기 위해 2000년 12월부터 개발에 착수하여, 2005년 4월 27일 프랑스 툴루즈(Toulouse) 공항에서 처녀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첫 상업 비행은 2007년 10월 25일 싱가포르(SQ380편) 창이 국제공항에서 시드니 킹스포드스미스 국제공항(Kingsford Smith International Airport)까지 가는 비행 편이었다.
개발 과정에는 ‘에어버스 A3XX’로 알려져 있었으며 ‘슈퍼점보’라는 별명과 함께 ‘WhaleJet’이라는 비공식 애칭도 가지고 있었다. 이 비행기는 현존하는 가장 큰 비행기보다 50% 가량 공간이 넓어졌다고 한다.
흔히 알려진 세 가지 종류(퍼스트, 비즈니스, 이코노미)로 좌석을 배치할 경우 555석, 전체를 이코노미석으로만 배치할 경우 853석을 마련할 수 있으며, 지금의 일반석 규모로 좌석을 배치한다면 1,000석도 가능하다고 한다. 많은 인구가 사는 중국이나 인도 같은 나라에 적합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6년 11월 15일에 상업 비행차 인천국제공항을 방문하였고, 2007년 9월 5일에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프로모션 비행 차 인천국제공항을 다시 방문하였다. 대한항공은 5대를 발주 후 3대를 더 추가 주문하였고 아시아나항공은 도입을 추진하였다가 A350으로 교체 주문하였다고 한다. 좌석의 간격도 넓히고 각종 편의 시설들을 호화롭게 배치해 항공에서 첫 취항할때도 취재진이 대거 몰리는 등 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임석우 인턴기자 rainstone@featur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