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전 보도국장, 이명박 정권 국정원 돈 받고 '원세훈 기사' '킬' 파문
이명박 정권 시절 언론은 말 그대로 정권의 하수인이었다. 돈을 받고 기사를 ‘킬’ 해주는 도덕적으로 어처구니 없는 일까지 일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명박 정권 시절 국정원이 KBS가 취재한 '원세훈 수사 개입 의혹' 기사를 막고 돈을 건넨 정황이 포착돼 파장이 일고 있다. 당시 KBS 보도국장이 돈을 받고 기사를 내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는 '뇌물죄'에 해당될 수 있는 중대 범죄다. KBS 등 언론사가 이명박 정권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하수인'으로 전락했다는 비판도 피할 수 없다.
국정원 개혁위원회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가 23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원세훈 전 국정원장은 방송사와 일부 보수 신문을 적극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KBS와 SBS 등 방송사와 조선일보가 국정원의 '기사 막기'에 동원된 정황이 확인된 것이다.
2009년 4월 원세훈 전 원장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이중적 행태를 부각하라'는 방침에 따라 일부 언론 담당 I/O(국정원 정보관)는 방송사에 수사 상황을 적극 보도해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국내 정보부서 언론담당 팀장 등 국정원 직원 4명이 SBS 사장을 접촉하여 노 전 대통령 수사상황을 적극 보도해 줄 것을 요청한 사실이 확인됐다.
KBS 담당 I/O가 2009년 5월 7일자 조선일보의 '국정원 수사개입 의혹' 기사에 대해 '보도하지 말라'고 협조 요청한 사실도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KBS 담당 I/O가 당시 보도국장을 상대로 '불보도' 협조 명목으로 현금 200만원을 집행한 것에 대한 예산 신청서ㆍ자금 결산서 및 담당 I/O 진술도 확보됐다.
국정원 개혁위는 "KBS 보도국장이 국정원 I/O로부터 현금을 수수하고 '원세훈 수사개입 의혹' 불보도 행위를 한 것은 뇌물죄에 해당될 여지가 있어 검찰에 수사의뢰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고 밝혔다.
공영방송 등이 국정원의 언론플레이에 적극 활용된 이같은 정황은 충격적이다. 향후 언론 개혁 요구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임석우 인턴기자 rainstone@featur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