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하여 선두가 되는 삶으로
곤충학자 파블로프가 사람과 성질이 유사하다며 가장 좋아했던 곤충이 있다. 바로 쐐기벌레다. 쐐기벌레는 먼저 기어간 리더의 자국을 따라가는 본능을 갖고 있다. 이들을 원형으로 놓으면 선두를 따라 뱅뱅 돌다가 며칠 뒤 모두 죽어버린다. 원 밖에 먹이가 있어도, 대열을 이탈할 줄 모른다.
자녀의 진로문제로 부모상담을 할 때, 자주 느끼는 안타까움이 있다. 대열 속에서 평가받고 그 점수가 자신의 자리가 되어버린 인생에 불행해하면서도, 그래서 “너는 앞에 서라”라고 가르친다. “네가 원하는 삶을 살아라.”라고 말하기에는 방법을 모르겠다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물결 속에 내 자녀가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기지는 않을까, 지금 하고 있는 공부가 쓸모없는 것은 아닐까, 부모들의 불안이 더 커지고 있음을 느낀다. 대학입시제도 개편이나 고교학점제, 자사고폐지 등 변화하는 교육과정이 부모를 혼란시키는 것도 사실이다.
“그 마음, 너무 잘 알고 있습니다. 혼자만의 불안이 아닙니다.” 지금은 변화의 시기가 맞다. 고로, 제대로 커브를 돌기위해 속도를 도리어 낮출 필요가 있다. 우르르 남을 따라갈 게 아니라, 세상이 어떻게 바뀌든 건강히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힘을 키워줘야 하는 것이다.
자녀가 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시켜주고 기다려주면 된다. 기대처럼 되지 않을 때도 그런 게 인생이라며, 다만 의미를 찾아 배울 수 있으면 된다고 의연하게 자녀를 받아주는 자세가 필요하다.
“네가 그러면 뒤떨어지는 거야” 라고 말하지 않아도 괜찮다. 이제 우리는 누구보다 빠르게 학습하고 정답을 도출하는 로봇과 경쟁할 게 아니라 하나를 하더라도 제대로 경험하고, 배우고, 새로운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진정 실패가 성공의 어머니가 될 수 있도록 시간을 주어야 한다.
자녀의 성적이 본인은 물론 부모의 자존감으로 이어져 서로를 괴롭히던 그 굴레에서도 벗어났으면 한다. 2등조차 울상을 짓는 이 기형적인 대열에서 이탈하여 자기 인생의 선두가 되는 것, 그게 우리가 가야할 교육의 방향이다. 우리는 더 행복해질 수 있다.
홍문화(동대문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장/ peacejam01@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