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현대차 밀어준 뒤 다스 매출 '폭발'...실소유주 밝혀지나

2017-11-02     성기노




다스의 실소유주가 누구인지도 중요하지만, 그 작은 회사가 어떻게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는지도 상당히 중요한 사안이다. 다스의 급성장에 대해서는 당연시하는 분위기도 있지만, 중소기업이 각종 특혜와 커넥션 없이 쉽게 거액의 매출을 올릴 수 있는 것은 한국 경제특성상 불가능한 일이다. 다스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현대그룹 청산과 함께 받은 일종의 '퇴직금'이라는 게 여러 정황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부를 아들에게 안정적으로, 또한 '편법'으로 물려주기 위한 합법적인 수단이기도 했다.


최근 다스의 급성장을 풀 단서 하나가 포착됐다. 최근 노컷뉴스는 이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으로 있던 2004년 서울시가 현대자동차 양재동 사옥 증축에 결정적인 도움을 준 뒤 '다스'의 매출이 급증한 것을 확인해 보도했다. 이는 MB의 '다스' 실소유 가능성에 더욱 무게를 싣는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양재동 사옥은 지난 2006년 이른바 '김재록 게이트'가 터지면서 증축 과정상의 특혜 의혹이 검찰 수사 선상에 한 차례 오른 바 있다.


의혹의 핵심은 현대차 그룹이 기존 양재동 사옥 옆에 사옥 하나를 더 지으려다 도시계획 관련 규정 때문에 어렵게 되자 김재록 전 인베스투스글로벌 회장을 동원해 인허가 로비를 벌였다는 것이다.


당시 로비의 대상은 건설교통부 등 중앙부처와 서울시 등이 꼽혔지만, 청탁 혐의로 수사를 받던 전직 서울시 공무원 A씨가 돌연 자살하면서 수사가 유야무야됐다.


그런데 이명박 시장 재임 당시 서울시가 현대차 사옥 증축의 걸림돌을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사실이 서울시 공문을 통해 2일 드러났다.


노컷뉴스는 서울특별시 공문 '도시계획 시설의 결정·구조 및 설치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에 대한 의견 제출'이라는 문건을 입수해 보도했다. 여기에 따르면 서울시는 해당 규칙을 개정해 '유통업무와 관련된 연구시설'을 서울시 경계 안쪽에도 건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2004년 5월 7일 건설교통부에 제시했다고 한다.


주무부처인 건교부는 당초 '규칙'을 개정하려고는 했지만 문제의‘연구시설’ 건축 허용을 개정안에 포함시킬 계획은 없었다.


하지만 서울시의 이 같은 요청을 받아 건교부는 그해 12월 3일 자로 해당 '규칙'을 개정해 현대차 사옥이 '연구시설'이라는 이름으로 증축될 수 있는 길을 터줬다.


당시 건교부는 현대차에 특혜를 줬다는 의혹에 대해 산업계와 지자체의 다양한 의견을 고려했다고 했지만, 서울시가 '연구시설'을 '규칙'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요청을 적극적으로 개진한 사실은 이번에 처음 확인됐다.


현대차 그룹은 양재사옥을 증축하기 수년 전부터 충남 아산시 등 전국에 흩어져 있던 '연구개발' 인력을 양재동 본사로 통합하기 위해 사옥 증축에 매진해왔었다.



▲ 현대기아차 서울 양재 사옥 전경.



따라서 서울시가 '규칙'에 '연구시설'을 콕 찝어 넣어달라고 요청한 것은 현대건설 회장 출신인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과 현대차 그룹 사이에 모종의 교감이 있었기 때문 아니냐는 추론이 가능하다.


그리고 중요한 점은, 2천억원에 불과하던 다스 매출은 MB가 현대차 양재사옥을 도운 뒤 2배로 폭발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당시 건교부에 '규칙' 개정을 공문을 통해 요청한 서울시 전직 관계자는 "해당 건은 당시 이명박 시장께서 관심을 기울였던 정책"이라면서도 "서울시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된다고 판단해서 추진한 것일 뿐 특혜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서울시의 그 같은 '정책' 덕에 현대차 그룹이 사옥 증축에 성공한 이후, 이명박 전 대통령 일가가 소유중이던 '다스'도 대박을 터뜨린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에 자동차 내장제를 납품하는 '다스'는 문제의 ‘규칙’이 개정되기 전해인 2001~2004년 사이에는 해마다 2천억원 안팎의 연매출을 올리는 데 그쳤다.


하지만 '규칙'이 개정되고 그에 따라 사옥 증축에 들어간 직후인 2005년에는 매출이 갑자기 2891억원으로 급등하고, 사옥이 준공되던 2006년에는 3566억원, 2007년에는 4235억원을 찍기에 이른다.


3년만에 다스 매출이 2배 가까이 치솟게 된 것이다.


당시 현대차 양재사옥 증축 특혜 의혹 수사에 관여했던 검찰 고위 관계자는 "현대차 건물은 반은 불법건물"이라고 까지 표현했다.


그는 "수사 당시에도 건축 허가가 난 다음부터 다스 매출이 엄청 뛴 사실을 확인했다"며 "현대차가 다스를 다른 납품 업체보다 많이 배려해준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과 현대자동차, 다스 사이의 3각 관계는 지금까지 그 커넥션이 명백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문건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현대자동차의 '민원'을 시원하게 해결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정황으로 의미가 있다. 그 반대급부를 통해 다스는 몇년만에 수천억원의 매출이 급증했다. 일반적인 중소기업으로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다. 국민들이 다스 의혹에 더욱 분노하는 이유다. 


성기노 에디터 trot@featur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