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명, 제명, 제명...극단으로 치닫는 ‘홍준표 독재 리더십'

2018-03-29     성기노




자유한국당이 6·13 지방선거 공천에 항의한 당원의 제명 절차를 밟는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홍준표(당 대표)식 당 운영에 반발하면 속전속결로 제명하는 사례가 이어지면서 ‘홍준표 사당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한국당 윤리위원회는 지난 26일 회의에서 김정기 서울 노원병 당협위원장 제명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장 후보 공천을 신청한 김 위원장은 중앙당이 사실상 전략공천 방침을 정하자 “원래부터 전략공천 예정이었다면 서울시장 후보는 왜 공모했나. 정치 사기가 아닌가”라고 공개 비판했다.


한국당은 조만간 최고위원회의에서 김 위원장 제명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이 홍 대표에 반발한 당원을 ‘해당행위’ 등을 이유로 제명한 사례는 세번째다.


한국당은 지난해 12월 홍 대표를 ‘후안무치’ ‘배은망덕’ 등으로 비난한 류여해 전 최고위원, 지난 1월 류 전 최고위원에 동조해 당 위신을 해쳤다는 이유로 정준길 전 대변인도 제명했다. 



이번 결정을 두고 홍 대표의 독단적 당 운영이 더욱 노골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나경원 의원은 이날 이주영, 유기준, 정우택 등 중진의원들과 간담회를 하며 “과연 공당이 이런 식으로 제명을 해도 되는지 문제제기를 안 할 수 없다”며 “선당후사가 아니라 ‘선사후당’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매우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이주영 의원은 중진의원 간담회 후 브리핑에서 “당 대표에 대해 조금이라도 귀에 거슬리는 얘기를 했다고, 윤리위를 열어서 제일 강한 징계인 제명을 남발하는 건 옳지 못하다”며 “그렇게 해서 어떻게 당의 옳은 소리, 곧은 소리에 대한 언로가 제대로 열리겠는가”라고 반문했다. 



홍 대표의 ‘독재’에 가까운 언행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문재인 대통령 개헌안 발의를 두고 “개헌안 표결을 위한 본회의에 참석하는 의원은 제명하겠다”고 하거나, 반대파 의원들을 겨냥해 “험지인 서울 강북으로 차출하겠다”고 ‘겁박’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한국당 주변에서는 홍준표 대표의 ‘독재 리더십’을 강하게 비판하는 얘기들이 나오고 있다. 사실 홍 대표는 당 주류도 아니었고, 경남도지사로 겨우 정치생명을 연장하다가 탄핵사태로 우연치 않게 대권주자로까지 부상해 당 ‘오너십’이 상당히 미약한 편이다. 그런 상황을 잘 아는 홍 대표로서는 ‘감히 나를 무시하느냐’는 지극히 감정적인 대응으로만 일관하고 있다.


그 사이에 당 지지율은 바닥을 기고 있고, 홍 대표의 리더십 또한 신뢰를 받지 못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그럼에도 홍 대표는 눈 하나 깜짝 하지 않는다.


‘버르장머리를 고쳐놓겠다’는 의지가 다분히 보인다. 당이야 어떻게 되든 말든 홍 대표는 보이지 않는 적과의 감정싸움을 날마다 소모전을 벌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반색하는 이유다.


성기노 에디터 trot@featur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