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연합 게이트 마지막 퍼즐, 국가정보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등로부터 수억원대 지원을 받아 활동한 대한민국어버이연합(어버이연합)에 대한 국회 차원의 진상규명이 시작됐습니다.
지난 3일 더불어민주당 어버이연합등 불법자금지원 의혹규명 진상조사 TF(더민주 어버이연합 TF팀)에서는 2차 회의를 열어 '어버이연합과 전경련' 문제는 결국 돈을 통해 사회분열과 갈등을 야기하면서 국민여론을 조작했다는데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더민주 어버이연합 TF팀은 "헌법에서 보장한 집회시위의 자유를 빙자한 동원된 관제데모로 인해 세월호로 문제를 국가와 사회가 함께 아파하며 제대로 풀었어야 했음에도 ‘찬반 갈등’으로 내몰렸고, 위안부 합의에 대한 역사적 민족적 과제가 정쟁화되었다"면서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정치개입이자 헌법 유린 행위"라고 꼬집었습니다.
특히 이날 더민주 어버이연합 TF팀은 '어버이연합 4각 커넥션'의 마지막 축으로 국가정보원을 언급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어버이연합의 알바비 동원 집회 배경에는 대북심리정보국을 동원해 온라인상 국민여론을 조작한 국가정보원의 그림자가 있다는 것입니다.
지난 2011년 6월 국정원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박원순 시장 제압문건에는 어버이연합 등을 동원한 박 시장 규탄 집회와 감사청구 등 실행전략이 담겼는데, 대부분 집행되었습니다. 당시 문건은 원세훈 원장에게 보고되고, 이후 전 부서에서 실행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당시 더민주 진선의 의원 쪽에 함께 제보된 반값등록금 문건에는 작성자와 담당 부서 팀장 이름이 실명과 전화번호까지 명기돼 있었습니다. 책임자로 기록된 A 팀장은 2011년 당시 사회팀에서 근무했으나 2013년 문건을 제보 받아 공개했을 때는 청와대에 근무하고 있었습니다. A 팀장은 현재도 국정원의 국내정보 국장으로 진급해서 계속 근무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가 하면 서울시 공무원 간첩 의혹 사건의 피의자로 기소된 유우성 씨 재판에 제출된 증거가 탈북자 출신 B 씨가 중국에 직접 가서 입수한 자료였고, 어버이연합을 통해 국정원에 전달했다고 합니다. 국정원이 수사하는 간첩사건을 왜 어버이연합에서 돈을 주고 탈북자를 중국으로까지 보냈을까요?

현재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병기 전 국정원장입니다. 청와대 행정관 한 명의 지시로 어버이연합이 과연 몇 년간 계속 활동해왔다는 것을 그대로 믿을 사람이 있을까요?
어버이연합과 전경련, 청와대 그리고 국정원. 4각 커넥션의 그림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김임수 에디터 rock@featur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