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에 강한 B형 feat. 뭐야?모아!
소심한 A형, 다혈질 B형, 긍정적인 O형, 독특한 AB형. 처음 만나는 사람의 성격을 ABO식 혈액형으로 판단하는 경우도 종종 있죠?
하지만 혈액형 성격설은 일본과 한국에서만 크게 관심을 가질 뿐 어떠한 근거도 없습니다.
그런데 ABO식 혈액형이 위암 발생률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김나영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센터 연구팀은 2006년 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소화기센터에서 비(非) 분문부(non-cardia) 위암 진단을 받은 환자 997명과 대조군 1147명을 분석해 "B형과 AB형이 다른 혈액형보다 위암 발생 위험이 낮다"는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헬리코박터' 최근호에 게재됐습니다.
비 분문부 위암은 식도와 위가 접해있는 주머니 모양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 발생한 암을 말합니다.
연구팀은 위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균 감염 여부, 헬리코박터 제균력, ABO혈액형, 성별, 나이, 위암 가족력, 식생활 등 14개 요소를 비교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B형(BB, BO)과 , AB형 환자군이 다른 혈액형의 환자군보다 위암에 걸릴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특히 B형 유전자가 2개인 B형(BB)은 다른 혈액형에 비해 46%, B형 유전자가 1개인 B형(BO)형과 AB(AB)형은 위암 발생 위험이 각각 27% 낮았습니다.
심지어 B형(BB)에서는 '미만형 위암(암세포가 깨알같이 작은 크기로 번지며 생기는 암)'의 발생률은 다른 혈액형보다 61%까지 줄었습니다.
또한 연구팀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제균 치료가 위암 발생률을 크게 낮춘다는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제균 치료를 할 경우 위암 발생률이 약 65% 낮아졌던 것입니다. 발견과 치료가 어려운 미만형 위암 환자군은 80%나 줄어들었습니다.
김나영 교수는 "혈액형과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여부에 따라 한국인의 위암 발생률이 차이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됐다"며 "헬리코박터 제균치료에 건강보험 적용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박민정 에디터 pop@featur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