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알' PD가 공개한 '친일'과 '독립운동'의 극명한 결과 차이
상태바
'그알' PD가 공개한 '친일'과 '독립운동'의 극명한 결과 차이
  • 최수정
  • 승인 2017.08.15 17:5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친일(왼쪽)과 독립운동의 결과라고 배정훈 PD가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사진.



SBS ‘그것이 알고싶다’의 배정훈 PD가 친일파와 독립운동가 후손의 집을 단적으로 비교하는 사진을 공개했다.

 

배 PD는 지난 13일 자신의 트위터에 “하나는 ‘친일파 후손’의 집, 다른 하나는 독립을 갈망하다 ‘빨갱이 자식’으로 평생을 숨죽여 살아온 집”이라는 글과 함께 사진 두장을 올렸다. 


첫 사진에는 한 부유한 동네로 보이는 곳에 있는 담장 높은 저택이 보인다. 현관문은 어디에 있는지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크고, 사진에는 차고로 추정되는 곳의 출입구가 보인다.



▲ 친일파 후손의 집. 사진=배정훈 PD 트위터



반면 독립운동가 후손의 집은 어느 시골 마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낡고 허름한 집은 제대로 된 담벼락이나 현관문도 없다.



▲ 독립운동가 후손의 집. 사진=배정훈 PD 트위터



배 PD는 “어디에서부터 이 두 집안 사이에 놓였을 격차를 이해해야 할까”라며 “적폐의 대물림 앞에서도, 자비가 필요한 걸까”라고 지적했다. 


이는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친일파 청산과 독립운동가 후손에 대한 보상 등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실제로 문재인 대통령 또한 지난 6월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겪고 있는 가난과 서러움, 교육받지 못한 억울함, 그 부끄럽고 죄송스러운 현실을 그대로 두고 나라다운 나라라고 할 수 없다”며 독립운동가에 대한 보상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독립운동 유공자 및 유족,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와 위안부 피해자 등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독립유공자의 건강과 후손들의 안정적인 생활 보장, 장례 의전 확대 등 마지막까지 예우를 다하는 국가를 만들겠다는 각오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배 PD는 다소 극단적인 예를 들며 친일과 독립운동의 결과에 대한 극명한 대비를 강조하려 했다. 우리 사회에 아직도 정의에 대한 열망이 강한 것은, 바로 이런 역사적 정의가 무너지고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팀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