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에서 사용하면 안 되는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산란계 농가 수가 하루 만에 6개에서 32개로 급증했다. 이들 농장을 포함해 살충제 성분이 조금이라도 검출된 곳은 친환경 농가 63개를 포함해 총 67개 농가에 이르렀다.
농림축산식품부가 17일 오전 5시까지 전수검사 대상 1239개 농가 중 876개 농가(친환경 농가 683개, 일반 농가 193개)의 검사를 완료한 결과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32개 농가는 피프로닐 등 사용해서는 안 되는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거나 일반 농가에 적용되는 허용 기준치(0.01㎎/㎏) 이상의 비펜트린이 검출된 곳이다. 그동안 검출되지 않았던 플루페녹수론과 에톡사졸도 각각 2개와 1개 농가에서 검출됐다. 이들 농장의 계란은 전량 회수·폐기됐다.
이들 농장을 포함해 살충제 성분이 조금이라도 검출된 농장은 총 67개였다. 이 중 친환경 농장이 63곳, 일반 농장이 4곳이었다. 친환경 농장 중 부적합 판정을 받아 계란 판매가 금지된 곳은 28개였다. 나머지 35개 친환경 농장의 계란에서는 일반 농가에 적용되는 허용 기준치 미만의 비펜트린 등이 검출됐다. 이들 계란은 친환경 인증 표시를 제거하면 일반 계란으로 유통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이들 35개 농장의 실명을 공개하지 않았다.
살충제 계란 농장 32곳 중에 친환경 농장이 28개로 88%나 차지한 것은 상당히 충격적인 결과다. 소비자들의 친환경 인증에 대한 불신이 더욱 커지고 있다. 친환경 농장들은 살충제를 쓰지 않는 조건으로 정부로부터 연간 최고 3000만원의 직불금을 받는다. 또 계란에 친환경 마크를 붙여 일반 계란보다 최대 40% 비싸게 팔고 있다. 친환경 농장들이 국민의 세금 지원과 소비자 신뢰를 배신하는 '도덕적 해이'를 저지른 것이다. 이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대응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온라인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