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14일 검찰 포토라인에 서게 된 주요 이유 가운데 하나는 과거 검찰 수사와 달리 속속 말을 바꾸고 있는 이 전 대통령 측근 인사들 때문이다.
이들 인사들은 2007년과 2008년 검찰과 특검 조사에서 이 전 대통령과 다스 및 BBK와의 연관성을 한결 같이 부인했다.
검찰과 특검은 결국 이들 측근 인사들이 굳게 입을 다물면서 “다스의 회계장부 등을 검토했지만 이 전 대통령의 것이라는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발표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 전 대통령의 옛 측근 인사들은 이번 검찰 조사에선 줄줄이 “다스는 이 전 대통령의 소유”라고 진술하면서 이 전 대통령을 코너로 내몰고 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검찰 조사만 받고 오면 하나 같이 연락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며 옛 측근 인사들의 잇단 ‘변심’에 분통을 터뜨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13일 검찰 등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의 검찰 수사에서 과거와 달리 태도 변화를 가장 먼저 보인 인사는 김성우 전 다스 사장과 권승호 전 다스 전무다.
김 전 사장과 권 전 전무는 검찰 조사에서 과거의 진술은 모두 거짓이라며 이 전 대통령의 지시로 다스를 설립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이들은 2008년 BBK 특검 당시 다스와 도곡동 땅은 이 전 대통령과 무관하다는 취지로 진술했던 인사들이다.
이 전 대통령의 ‘금고지기’로 불리는 이병모 청계재단 사무국장도 검찰에서 자신이 이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을 직접 관리했고, 그 내역을 이 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40년지기’인 김백준 전 청와대 총무비서관도 검찰에서 이 전 대통령 측의 국가정보원의 특수활동비 수수 사실과 함께 이 전 대통령의 지시로 삼성이 다스 소송비용을 대신 냈다고 밝혔다.
강경호 현 다스 사장도 검찰 조사에서 다스는 이 전 대통령의 것이며 이 전 대통령의 지시로 자신이 다스 사장에 취임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심지어 이상은 다스 회장과 그의 아들인 이동형 다스 부사장조차 다스의 지분 일부가 이 전 대통령의 것이라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언론에 보도됐다.
이 전 대통령 측근들이 이렇게 줄줄이 그에게 등을 돌리는 이유는 무엇보다 이권으로 얽매인 관계였기 때문이다. 이 전 대통령의 정치철학을 공유했던 관계가 아니라 맹목적인 충성에 대한 보상으로 자리를 주는 식의 주종관계가 형성됐고, 그 이해관계가 끝나면 언제라도 배신을 하게 된다. 이 전 대통령이 검찰에 출두하게 되면 측근들의 '구체적인 증언'에 충격을 받을지도 모를 일이다.
성기노 에디터 trot@featur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