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식 금융감독원장 내정, 김상조와 투톱으로 재벌 개혁
상태바
김기식 금융감독원장 내정, 김상조와 투톱으로 재벌 개혁
  • 성기노
  • 승인 2018.03.30 10: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나은행 채용비리 의혹으로 최근 사임한 최흥식 전 금융감독원장 후임으로 김기식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내정됐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30일 금융위 의결을 거쳐 김 전 의원을 임명 제청했다. 지난 12일 최 전 원장이 지인 아들 채용청탁 의혹으로 사의를 표명한 후 18일 만이다.


신임 금감원장은 법률에 따라 금융위 의결, 금융위원장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김 내정자는 참여연대 사무처장과 정책위원장 등으로 오랜 기간 재직해 다양한 이해관계의 조정과 개혁적 경제정책 개발에 대한 경험이 풍부하다는 평가다.


제19대 국회에서는 금융위와 금감원을 소관하는 정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금융 정책, 제도, 감독 등에 대한 높은 전문성을 보유했다고 강조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김 내정자는 현재 여러 도전적 상황에 직면한 금감원의 혁신과 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갈 적임자로 평가돼 금감원장으로 제청했다"고 전했다.


김기식 전 의원의 금감원장 내정에 재계는 비상이 걸렸다. 김 전 의원은 개혁성향이 강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보다 더 강성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재벌개혁에 대해 꾸준히 자기 목소기를 내왔다는 점에서 삼성 등의 빅 그룹은 긴장감속에 뉴스를 접하고 있다.


김 전 의원은 특히 제19대 국회에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을 소관하는 정무위원으로 활동하며 금융 정책·제도·감독 등에 대한 높은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 내정자는 시민단체와 국회 등에서 활동한 금융 전문가다.


1999년 참여연대 정책실장으로서 시민사회에 뛰어든 이후 사무처장과 정책위원장 등을 거쳐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제19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19대 국회의원 재직 시에는 금융위·금감원을 담당하는 정무위에서 주로 활동했다. 당시 정무위 민주당 간사를 맞아 정책 조율을 하기도 했다.


2016년 이후에는 더미래연구소장을 문재인 정부의 금융 부문 개혁 밑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김 내정자에게는 하나은행과의 갈등, 채용 비리 등으로 바닥에 떨어진 감독 당국의 신뢰를 되찾는 것이 첫 번째 과제다.


당국과 하나금융은 김정태 하나금융지주 회장의 3연임과 채용비리, 사내외이사 교체 등 문제를 두고 계속 충돌해왔다.


최 전 원장이 사퇴한 것도 2013년 하나금융지주 사장 재직 시절 하나은행 공채에 응시한 친구 아들을 인사 추천하는 등 특혜를 준 의혹 때문이었다.





금감원은 최 전 원장 사태와 관련한 사실을 규명하고자 하나은행에 대한 특별검사를 진행 중이다.


여타 부분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는 평가를 받아온 금융혁신 과제 역시 김 내정자가 빠르게 해결해야 할 부분이다.


금융당국은 중소기업·소상공인·창업자들이 체감하는 금융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모색 중이다.


이건희 차명계좌에 대한 과징금 부과 문제, 금융그룹 통합감독, 지배구조 개선 등 재벌과 관련한 이슈도 많아 한때 '저격수'로 불렸던 김 내정자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이 김기식 전 의원을 금감원장에 임명함에 따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과 투톱으로 재벌개혁을 더욱 강력하게 밀어붙일 것으로 예상된다.


성기노 에디터 trot@featuring.co.kr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