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조 유령주식 배당 사태'를 유발한 삼성증권이 배당오류를 파악하고도 임직원 계좌거래를 차단하는 데까지 30분 넘게 걸린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사주 조합에 배당금 대신 주식을 배당하는 과정에서 내부통제 장치가 작동하지 않은 데다 사고 이후 대응도 늦어지며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빌딩에서 브리핑을 열고 삼성증권 배당오류 사고 경위와 향후 검사방향을 설명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삼성증권은 6일 오전 9시30분 우리사주 조합에 배당금 28억원 대신 주식 28억1000여주를 입고했다. 직후 삼성증권 직원 16명은 9시35분부터 10시 5분까지 30분동안 주식 501만3000여주를 시장에서 매각, 12% 가까이 주가가 급락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삼성증권이 배당착오를 파악한 시간은 오전 9시31분으로, 9시45분 사내에 착오주식 매도를 금지하고 10시8분 시스템상 전체 임직원 계좌에 대해 주문을 중단시켰다. 이후 오전 10시14분에는 착오배당한 주식의 입고를 취소하고 배당금을 다시 입금했다.
삼성증권은 시장에 풀린 유령주식 501만여주의 결제기일 10일까지 결제이행을 위해 기관투자자로부터 주식 241만여주를 차입하고, 이날 장 마감까지 260만주를 장내매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제는 사고 사실 발견 직후부터 임직원 계좌 주문정지까지 37분이 걸렸다는 점이다. 일부 직원들은 착오배당 주식을 팔지 말라는 공지를 보고도 20분간 주식을 매각하며 사태를 키웠다.
아울러 주식배당 오류를 감시할 수 있는 내부통제 시스템에도 구멍이 나왔다. 5일 담당직원이 주식배당을 잘못 입력했음에도 최종 결재자는 확인없이 승인했다는 게 금감원 측의 설명이다. 이튿날 오전까지도 오류가 발견되지 않고 주식이 입고될 때까지 오류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우리사주 조합에 대한 현금 배당은 일반 주주와 달리 발행회사가 직접 업무를 처리하면서 실제 발행되지 않은 주식이 착오입력으로 입고 후 거래까지되는 시스템상 공백도 발견됐다. 이 공백으로 발행주식의 32배 넘는 유령주식이 풀리고도 발견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금감원은 9일 구성훈 삼성증권 대표이사를 면담, 피해보상 전담반 등 철저한 사고 수습을 요구하고, 10일까지 이틀동안 유령주식 501만여주 결제이행과정에 대한 특별점검에 착수했다. 이후 19일까지 7영업일 동안 이번 사태경위에 대한 현장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4월 중 배당예정인 다른 증권사에 대해서도 내부통제 등 사고방지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다.
금감원 측은 "보유하지 않은 주식 입고와 장내 매도경위, 내부통제 시스템 등 사고발생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후속조치 적절성을 점검할 것"이라며 "위법사항 확인시 관련자와 삼성증권에 대해 엄중히 처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석우 인턴기자 rainstone@featuri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