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원룸 화재 미성년자 사망 2명으로 늘어…'불이야' 못 알아들은 외국인 참극
상태바
김해 원룸 화재 미성년자 사망 2명으로 늘어…'불이야' 못 알아들은 외국인 참극
  • 성기노
  • 승인 2018.10.21 18: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일 발생한 경남 김해시 원룸 건물 화재 사망자가 2명으로 늘었다.


21일 경찰 등에 따르면 화재 이후 모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던 우즈베키스탄 국적의 A(14)양이 이날 오후 사망했다.


이 아이는 화재 직후 숨진 4살 아이의 친누나인 것으로 확인됐다.


중상을 입고 입원 중인 A양의 남동생(12)·이종사촌(13) 역시 상태가 위중한 것으로 알려졌다.


숨지거나 위독한 이들 4명은 화재 당시 모두 한 방에 있다가 변을 당했다.


경찰은 아이들이 모두 한국말이 서툴러 "불이야"라는 외침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했거나 당황해 미처 대피하지 못하고 변을 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1층 필로티 구조 주차장에서 불이 시작한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한편 이날 사망자가 2명으로 늘어남에 따라 중·경상자는 8명으로 집계됐다.


화재 사고로 10명의 사상자를 낸 김해 원룸 건물이 화재에 취약한 필로티 구조에 드라이비트 공법으로 건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해당 건물은 지상 4층, 건물면적 642㎡ 규모다. 1층은 필로티 구조 주차장이고 2~4층에는 모두 15가구가 거주한다.


이번 화재는 발생 20여 분 만에 꺼졌지만 1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짧은 시간 안에 큰 피해를 냈다.


그 원인으로는 필로티 구조와 드라이비트 공법 등이 꼽힌다. 두 요인은 2015년 경기도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와 2017년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에서도 피해를 키운 공통 요인으로 지목된 바 있다.


필로티 건축물은 불이 나면 확 트인 사방에서 공기가 대량 유입돼 불이 쉽게 번지는 위험을 안고 있다.


또 건물 외벽에 스티로폼 등 가연성 소재를 붙이고 석고나 시멘트를 덧붙이는 마감 방식인 드라이비트는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간단한 대신 화재 시 불길이 빠르게 번지고 유독가스를 내뿜어 인명피해의 우려가 크다.


실제 당시 주차장 외부를 비추던 CCTV를 보면 행인이 화재를 최초 인식한 것으로 보이는 순간부터 화면상 연기가 보이기 시작한 순간까지는 30초 가량이 걸린다. 새카만 연기가 건물을 가득 메우는 데는 10여 초밖에 걸리지 않았다.


또 해당 건물은 연면적 상 현행법이 정하는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 대상이 아니었으며 주차장에 불이 났을 때 전체 건물에 이를 알려주는 경보시설도 없었다.


경찰은 이날 오전 10시 30분께부터 화재 현장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방당국과 합동감식을 벌이는 등 본격 원인 규명에 나섰다.


경찰 관계자는 “아직 최초 발화 지점과 화재 원인을 단정할 수 없다”며 “오는 23일 한 차례 더 현장감식을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해당 건물주는 “평소 필요한 의무는 다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사망하거나 중상을 입은 아이들 모두 한국말이 서툴러 “불이야”라는 외침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했던 것으로 보여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성기노 에디터 trot@featuring.co.kr


주요기사
이슈포토